본문 바로가기

Clinical

epidemiology/역학개론

역학연구 방법론

역학의 정의 - 인구집단에 대한 과학

 

1강: 의학 연구에서 원인적 연관성은 무엇인가?

-인구 집단을 대상으로 하여, 건강 상태 혹은 사건, 분포와 결정 요인을 연구하여, 질병 예방과 건강증진에 활용하는 학문

-결정 요인, 질병을 결정하는 원인적 연관성을 연구한다.  원인을 파악하여 타깃 하여 치료가 가능한가?

-원인적 연관성 Simple causal relationship?  necessary or sufficient

결핵의 예

 

cause의 일반적 정의

necessary factor: Mycovacterium tuberculosis균에 감염되면 무조건 결핵인가?(Clinical tuberculosis) 아니요, infection 되어도 영향이나 다른 요인들에서 문제가 없으면 진단 안 될 수도

결핵(Clinical tuberculosis) 진단이면  Mycovacterium tuberculosis균에 감염됐는가? 예

necessary(연관성) 긴 하지만 sufficient(무조건)는 아니다.

 

-Cause factor:  event의 efficacy 올려주는

-Preventive factor: event의 efficacy 감소시켜주는

이 둘을 통해 risk factor라고 생각한다.

 

즉 원인이 결과의 선행이 되어야 한다.

 

2강: 의학 연구 디자인

 

RCT(Randomized Controlled Trials, RCT): 무작위 배정 임상시험

일반적으로 의료기술이나 약제의 효능(efficacy)을 연구할 때 비뚤림(biase)을 줄이기 위한 목적으로 수행하는 임상시험의 한 유형, 임상시험에 참여하는 대상자들을 실험군과 대조군에 무작위 할당하여 결과를 비교함

 

CRT(Cluster Randomized Trials. CRT): 군집 무작위 배정 시험

출처:

https://hineca.kr/1847

 

무작위 배정 임상시험(Randomized Controlled Trials, RCT)과 군집 무작위 배정 시험(Cluster Randomized Trials, CR

무작위 배정 임상시험(Randomized Controlled Trials, RCT)과 군집 무작위 배정 시험(Cluster Randomized Trials, CRT) 무작위 배정 임상시험(Randomized Controlled Trials, RCT) 1) 무작위 배정 임상시험이란?..

hineca.kr

 

 

 

K-GENOME:https://www.kgol.org/classroom/index.jsp?cuid=1898835

 

 

 

Cross-sectional Study: 노출과 결과를 동시에 확인하는 단면 연구

(prevalence study)

 

case-control: 이미 case 결과가 발생하였고, control과 비교를 통해서 exposure(risk factor)를 찾는 연구 OR, 95% CI

 

 

Cohort study:질환이 없는 대상에서 Exposure(노출) 후 시간이 지나서 Outcom 비교를 통해 exposure 집단이 exposure 비 노출에 비해 질환이 얼마나 발생, 감소하였는지

 

-외적 타당도, 내적 타당도의 확보

 

 

 

일반적인 코호트(Prospective Cohort) = 전향적 코호트 디자인 후 20년 기다리고 결과

 

후향적 코호트(Retrospective Cohort) = 이미 결과가 나와있음, 과거의 자료를 받더니 노출에 측정된 게 있음 그 과거부터 노출/비노출로 질병의 발생했는지 2차 자료 붙여서 확인(저렴)

우리나라:국민건강보험공단(청구자료, 병원 입력 자료, 건강 검진, lifestyle, 검사) - 노출과 결과가 나와있음

 

 

*Nested case-control: 코호트 연구를 하면서 거기서 발생되는 질환을 case로 잡고 그 시점에서 질환이 없는 control를 뽑는

 

*약물 기간 노출 후 질환 유무를 case-control(BRONJ)인데

 

 

국민건강 영양조사: Cross-sectional study

대상자를 집단으로 뽑고 exposure 질병 o, x   exposure 없고 질병 o, x  

원인과 결과를 동시에 조사

time-sequence확보 x

원인이 결과를 선행했다는 걸 밝힐 수 없음

현재의 prevalance를 밝히는

 

즉 약의 효능을 보려면 코호트,  질환을 일으키는 원인을 보는 건 case-control

 

 

 

3강: 연관성 지표(IR, RR, OR)

person-time at risk contributed by study population

코호트 연구에서 사람들이 중간중간 추적이 어려운 경우가 있기 때문에 고려

 

Comparisons and Associations(연관성)

Association 있다고 해도, Causal relationship을 필요는 없다.

Effect를 볼 수 있나? 애매함 따라서 Association이라고 표현함

 

R: Risk

I: Incidence(발생)

H: hazard(생존)

incidence rate(Time-averaged)

 

절댓값

RD/ID는 기준이 0으로

 

상대 측정값

RR = Risk ratio =노출된 군 risk/ 노출되지 않은 군에서 risk

IR = Incidence rate ratio =노출된 군에서 incidence rate /노출되지 않은 군에서 incidence rate

ex) IR =1.77  현재 호르몬 치료를 받는 환자가 안 받는 혼자보다 1.77배 유방암이 발생한다.

 

RR

1을 기준으로 그 노출(약물)이 질환을 증가한다. 감소한다 1이면 영향 없다

RR은 노출과 질병 사이의 연관성 Strength

 

Attributable Risk fraction(%): 영향력을 보기 위한

AR% = I(exposed) - I(unexposed)/ I(exposed) *100 = RR-1/RR